반응형 Apple/Apple_Xcode3 xcconfig로 build setting 설정하기. .xcconfig를 이용한 빌드 설정의 이유와 장점 1. 설정의 분리와 가독성 향상 • 코드와 설정 분리: 빌드 설정을 소스 코드와 분리함으로써, 설정 파일이 더 깔끔하고 관리하기 쉬워집니다. • 가독성: 텍스트 파일 형식의 .xcconfig 파일은 Xcode UI보다 설정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2. 환경별 설정 관리 용이 • 환경별 설정 관리: 개발, 테스트, 프로덕션 등 다양한 빌드 환경별로 설정을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중복 최소화: 공통 설정을 하나의 파일로 관리하고, 환경별로 필요한 설정만 덧붙일 수 있어 설정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3. 버전 관리 • Git 등 VCS 관리 용이: .xcconfig 파일은 텍스트 파일이므로 Git 등의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변.. 2024. 7. 2. [Localization] 다른 나라 언어 대응하기. (현지화) 이번 시간에는 앱에서 여러 국가의 언어를 대응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Xcode15.2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Xcode 실행 > 왼쪽 네비게이션 화면에서 Cmd + N 또는 File > New > File 선택 1. string 검색 2. String Catalog 선택후 Next 1. 원하는 이름 작성 (일반적으로는 Localizable로 그대로 둔다) 2. Create 버튼 선택 1. 생성된 Localizable 파일을 볼 수 있다. 선택한다. 2. + 버튼을 선택한다 3. 원하는 국가를 선택한다 (해당 예제에서는 ko를 선택함) English를 선택한다. 1. Key를 입력하면 시스템에서 국가에 맞게 해당 텍스트를 보여준다. Default로 설정된 English는 Key와 실제로 앱에 나타.. 2024. 3. 21. Xcode Source Control (Git) 상태 표시의 의미 Xcode를 이용해서 개발을 하는 상황에서 왼쪽 네비게이션 바(아래 이미지)에서 "M", "A" "↓" 등등.. 표시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이번시간에 정리하고자 한다. "M" (Modified): "수정됨": 파일이 마지막으로 커밋된 이후 수정되었음을 나타냄. 즉, 파일에 변경사항이 있으나 아직 커밋되지 않은 상태. "A" (Added): "추가됨": 파일이 새롭게 추가되었으나 아직 커밋되지 않았음을 나타냄. 프로젝트에 새 파일을 생성하거나 기존에 추적되지 않던 파일을 추가했을 때 이 상태가 표시됨. "?" (Untracked): 파일이 소스 컨트롤에 의해 추적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 새 파일을 프로젝트에 추가했지만 아직 Git이나 다른 버전 관리 시스템에 추가하지 않은 경우.. 2024. 3.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