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esign_Pattern3

생성 패턴 - 빌더 패턴 (Builder Pattern) Swift에서 빌더 패턴의 이해와 적용 프로그래밍에서 객체의 생성과 설정 과정은 때때로 복잡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작업이 될 수 있다. 특히 객체가 다양한 속성과 설정을 필요로 할 때, 그 과정은 더욱 까다로워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빌더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빌더 패턴의 핵심 아이디어는 객체의 생성과 설정 과정을 객체 자체가 아닌 별도의 '빌더' 타입이 수행하게 하는 것. 장점 1. 객체는 불변성을 유지. 2.생성 과정에서의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 3. 가독성 향상: 빌더 패턴을 사용하면, 객체의 생성과 설정이 메소드 체이닝을 통해 순차적 이루어짐.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유지 보수 시에도 이점을 제공함. 4. 불변성 유지: 객체가 한 번 생성된 후에는 변경되지 않습니.. 2024. 4. 2.
데코레이터 패턴(Decorator Pattern) 데코레이터 패턴(Decorator Pattern)이란? 데코레이터 패턴은 객체 지향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기존의 객체에 새로운 기능을 동적으로 추가하기 위한 패턴입니다. 데코레이터 패턴을 사용하면, 기존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도 객체의 책임과 역할을 확장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은 패턴입니다. 데코레이터 패턴의 구성요소 데코레이터 패턴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Component: 데코레이터 패턴에서 추가 기능을 부여할 객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ConcreteComponent: Componen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체적인 객체입니다. Decorator: Componen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추가 기능을 부여할 객체의 추상 클래스입니다. ConcreteDecorator: Decorator 클.. 2023. 3. 15.
어댑터 패턴(Adapter Pattern) 어댑터 패턴은 호환되지 않는 인터페이스를 가진 클래스를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패턴으로, 실제로 많은 경우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1.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가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해야 하는 인터페이스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어댑터 패턴을 사용하여 외부 라이브러리를 클라이언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 외부 라이브러리의 인터페이스 class ExternalLib { func doSomethingComplicated() { // ... } } //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인터페이스 protocol MyLib { func doSomethingSimple() } // 어댑터.. 2023. 3. 13.
반응형